자동차용 Android 앱 라이브러리로 앱을 설계하려면 템플릿을 작업 흐름으로 순서 지정하고 앱과 사용자의 목표에 맞게 맞춤설정해야 합니다.
이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다음 카테고리의 앱을 만들 수 있습니다.
대략적인 설계 프로세스를 이해하려면 다음 프로세스를 참고하세요. 사용자 환경을 만드는 데 있어 내 역할과 앱 라이브러리의 역할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누가 무엇을 처리하나요?를 참고하세요.
처리 단계
자동차용 Android 앱 라이브러리를 사용한 설계에는 일반적으로 다음 단계가 포함됩니다.
- 사용자 작업 정의 사용자가 차량에서 앱으로 실행해야 하는 중요한 작업을 파악합니다.
- 작업 흐름 계획 사용자가 각 작업을 수행하도록 안내하는 템플릿 시퀀스를 선택합니다.
- 운전 상태 고려 주차 전용 템플릿과 작업 흐름 전략을 전략적으로 사용하세요.
- 커뮤니케이션 계획. 앱이 사용자와 소통하는 모든 시나리오에 적합한 커뮤니케이션 옵션을 선택합니다.
- 앱 맞춤설정. 각 템플릿의 콘텐츠를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맞게 맞춤설정하고 스타일을 앱의 브랜드에 맞게 맞춤설정합니다.
처리 주체와 처리 대상
자동차용 Android 앱 라이브러리로 앱을 만들면 앱 라이브러리에서 호환되는 모든 자동차에서 운전할 수 있도록 최적화하는 등 앱 환경의 여러 측면을 처리합니다.
라이브러리에서 처리하는 항목 | 앱 개발자가 처리하는 작업 |
---|---|
입력: 터치 스크린이나 로터리와 같은 특정 자동차에서 사용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통해 템플릿에 대한 사용자 입력 처리 | 음성 입력: 녹음된 오디오 처리 |
화면 크기 조정: 콘텐츠를 화면 크기에 맞게 조정 | 사용자 흐름: 중요한 사용자 여정을 다루는 맞춤 템플릿 시퀀스 만들기 |
화면 전환: 화면 간 동작 전환 | 메타데이터: 목록 항목, 지도에 고정할 위치 등의 메타데이터 제공 |
일관되고 운전에 최적화된 UI: 앱 전반에서 UI와 상호작용 패턴이 친숙하고 일관되도록 보장 | 브랜딩 요소: 앱 아이콘, 이미지, 맞춤 강조 색상 (밝은 버전과 어두운 버전 포함) 제공 |
밝은 모드 및 어두운 모드 (아래에 명시된 경우 제외): 주변 조명 조건에 적합한 모드로 템플릿 기능 조정 | 지도 (내비게이션 앱만 해당): 지시된 대로 밝은 테마 또는 어두운 테마의 지도를 그리고 업데이트합니다 (필요한 경우 클러스터 표시용 지도 포함). |
운전 상태에 기반한 UX 제한: 사용자가 운전하는 동안 텍스트를 제한하거나 키보드와 같은 특정 기능을 사용 중지 | |
내비게이션이 아닌 앱의 지도: 장소 목록 (지도) 템플릿에 지도 그리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