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속 포털 API 지원
컬렉션을 사용해 정리하기
내 환경설정을 기준으로 콘텐츠를 저장하고 분류하세요.
Android 11 베타 2부터 시스템은 RFC7710bis 및 관련 종속 포털 API에서 설명하는 기능의 하위 집합을 지원합니다.
API는 액세스 포인트가 자신을 종속 포털로 식별할 수 있는 안정적인 방법을 제공합니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가 세션 및 장소 정보와 같은 정보를 사용자에게 게시할 수 있는 새로운 사용 사례를 가능하게 합니다.
종속 포털 감지 향상
Android 5.0(API 수준 21)부터 Android 기기는 종속 포털을 감지하고 인터넷에 액세스하려면 네트워크에 로그인해야 함을 사용자에게 알렸습니다. 종속 포털은 알려진 대상(예: connectivitycheck.gstatic.com
)에 대한 일반 텍스트 HTTP 프로브를 사용하여 감지되었으며 프로브가 HTTP 리디렉션을 수신했다면 기기는 네트워크가 종속 포털이었을 것이라고 가정했습니다. 이 기법은 프로브 대상 표준 URL이 없으므로 신뢰할 수 없으며 이러한 프로브는 종속 포털 네트워크에 의해 잘못 허용되거나 차단될 수 있습니다(리디렉션되는 대신). API를 통해 포털은 로그인할 URL과 함께 로그인이 필요하다는 긍정적인 신호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Android 11은 RFC7710bis에 설명된 대로 DHCP 옵션 114를 지원합니다.
향후 업데이트에서 라우터 알림 옵션에 관한 지원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기기가 DHCP 핸드셰이크 중에 이 옵션을 통해 종속 포털 API URL을 얻으면 기기는 연결 직후에 API 콘텐츠를 가져오고 종속 포털 API에 따라 네트워크가 종속인 경우 사용자에게 로그인하라는 메시지를 표시합니다.
API를 사용할 수 없거나 포털이 공지되지 않았다면 시스템은 이전과 같이 계속해서 HTTP/HTTPS 프로브를 사용하여 포털을 감지하고 인터넷 연결을 확인합니다.
장소 게시 정보
Android 11은 종속 포털 API에 정의된 venue-info-url
을 지원합니다. 이 URL을 통해 사용자는 브라우저에서 액세스 포인트 장소에 관한 컨텍스트별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사용자는 로그인한 이후 알림 또는 네트워크 설정에서 이 URL을 열 수 있습니다(그렇게 하도록 선택한 경우).
그림 1. 네트워크에서 장소 URL을 제공하면 시스템은 사용자가 그 페이지를 방문할 수 있도록 알림 팝업을 표시합니다.
그림 2. 네트워크 세부정보 화면에서 사이트를 여는 버튼
향후 사용 사례
출시 시점에 Android 11은 종속 포털 API의 기본 기능 집합만 지원하지만 출시 후 Google Play 시스템 업데이트를 통해 새로운 기능을 기기에 제공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운영자는 다음과 같이 향후 가능한 개선사항을 염두에 두고 종속 포털 API를 구현하는 것이 좋습니다.
- 세션 시간(
seconds-remaining
)은 현재 기본 설정 앱에서 사용자에게 포털에 남은 시간을 알리는 데 사용됩니다.
로그인 URL을 통해 세션을 확장하는 기능(can-extend-session
)은 API를 통해 표현되어 시스템이 만료되었거나 곧 만료될 세션에 관해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습니다.
- 사용자가 남은 데이터를 추적할 수 있도록 API를 통해 데이터 한도(
bytes-remaining
)를 알릴 수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 나와 있는 콘텐츠와 코드 샘플에는 콘텐츠 라이선스에서 설명하는 라이선스가 적용됩니다. 자바 및 OpenJDK는 Oracle 및 Oracle 계열사의 상표 또는 등록 상표입니다.
최종 업데이트: 2025-08-27(UTC)
[[["이해하기 쉬움","easyToUnderstand","thumb-up"],["문제가 해결됨","solvedMyProblem","thumb-up"],["기타","otherUp","thumb-up"]],[["필요한 정보가 없음","missingTheInformationINeed","thumb-down"],["너무 복잡함/단계 수가 너무 많음","tooComplicatedTooManySteps","thumb-down"],["오래됨","outOfDate","thumb-down"],["번역 문제","translationIssue","thumb-down"],["샘플/코드 문제","samplesCodeIssue","thumb-down"],["기타","otherDown","thumb-down"]],["최종 업데이트: 2025-08-27(UTC)"],[],[],null,["Starting in Android 11 Beta 2, the system supports a subset of\nfunctionality described by\n[RFC7710bis](https://tools.ietf.org/html/draft-ietf-capport-rfc7710bis)\nand the associated [captive portal\nAPI](https://tools.ietf.org/html/draft-ietf-capport-api).\n\nThe API provides a reliable way for access points to identify themselves as\ncaptive portals. It also enables new use-cases for access points to publish\ninformation to their users, such as session and venue information.\n\nImproved captive portal detection\n\nSince Android 5.0 (API level 21), Android devices have detected captive portals\nand notified the user that they need to sign in to the network to access the\ninternet. Captive portals were detected using cleartext HTTP probes to known\ndestinations (such as `connectivitycheck.gstatic.com`), and if the probe\nreceived an HTTP redirect, the device assumed that the network was a captive\nportal. This technique can be unreliable because there is no standard URL to\nprobe, and such probes could be mistakenly allowed or blocked (instead of\nredirected) by captive portal networks. The API allows portals to provide a\npositive signal that login is required, along with a URL to log in to.\n\nAndroid 11 supports DHCP option 114 as described in RFC7710bis.\nWe may add support for the router advertisement option in a future update. If\nthe device gets a captive portal API URL through that option during the DHCP\nhandshake, devices fetch the API contents immediately after connecting and\nprompt users to log in if the network is captive, as per the captive portal API.\n\nIf the API is not available, or if no portal is advertised, the system will\ncontinue to detect portals and verify internet connectivity using HTTP/HTTPS\nprobes, as before.\n\nVenue-published information\n\nAndroid 11 supports the `venue-info-url` defined in the captive\nportal API. This URL allows users to obtain context-specific information about\nthe access point venue in their browser. By default, users can open this URL if\nthey choose to do so from a notification after logging in, or from their network\nsettings.\n\n\u003cbr /\u003e\n\n\n**Figure 1.** If the network provides a venue URL, the system pops up a notice\nallowing the user to visit that page\n\n\u003cbr /\u003e\n\n\n**Figure 2.** Button to open the site from the Network details screen\n\nFuture use cases\n\nWhile at launch Android 11 supports only a basic set of\nfunctionality from the captive portal API, new functionality may be delivered to\ndevices via Google Play system updates after launch. We encourage network\noperators to implement the captive portal API while keeping future possible\nimprovements in mind:\n\n- Session time (`seconds-remaining`) is currently used in the default **Settings** app to inform users on how much time is left on the portal. The ability to extend the session via the login URL (`can-extend-session`) can also be expressed through the API to allow the system to notify the user about expired or soon-to-expire sessions.\n- Data caps (`bytes-remaining`) can be advertised through the API to allow users to keep track of remaining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