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작 변경사항: 모든 앱

Android 16 플랫폼에는 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동작 변경사항이 있습니다. targetSdkVersion과 관계없이 Android 16에서 실행되는 모든 앱에 적용되는 동작 변경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러한 변경사항을 적절히 지원해야 하는 경우 앱을 테스트한 후 필요에 따라 수정해야 합니다.

또한 Android 16을 타겟팅하는 앱에만 영향을 주는 동작 변경사항 목록을 검토해야 합니다.

핵심 기능

Android 16 (API 수준 36)에는 Android 시스템의 다양한 핵심 기능을 수정하거나 확장하는 다음과 같은 변경사항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JobScheduler 할당량 최적화

Android 16부터 다음 요소를 기반으로 일반 및 신속한 작업 실행 런타임 할당량이 조정됩니다.

  • 애플리케이션이 있는 앱 대기 버킷: Android 16에서는 활성 대기 버킷이 넉넉한 런타임 할당량으로 시행되기 시작합니다.
  • 앱이 최상위 상태에 있는 동안 작업 실행이 시작되는 경우: Android 16에서는 앱이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동안 시작된 작업이 앱이 표시되지 않게 된 후에도 계속되면 작업 런타임 할당량을 준수합니다.
  • 포그라운드 서비스를 실행하는 동안 작업이 실행되는 경우: Android 16에서는 포그라운드 서비스와 동시에 실행되는 작업이 작업 런타임 할당량을 준수합니다. 사용자가 시작한 데이터 전송에 작업을 활용하는 경우 대신 사용자가 시작한 데이터 전송 작업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변경사항은 WorkManager, JobScheduler, DownloadManager를 사용하여 예약된 작업에 영향을 미칩니다. 작업이 중지된 이유를 디버그하려면 WorkInfo.getStopReason()를 호출하여 작업이 중지된 이유를 로깅하는 것이 좋습니다 (JobScheduler 작업의 경우 JobParameters.getStopReason() 호출).

배터리 최적화 권장사항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작업 예약 API의 배터리 사용량 최적화 가이드를 참고하세요.

또한 Android 16에서 도입된 새로운 JobScheduler#getPendingJobReasonsHistory API를 활용하여 작업이 실행되지 않은 이유를 파악하는 것이 좋습니다.

테스트

앱의 동작을 테스트하려면 앱이 Android 16 기기에서 실행되는 한 특정 작업 할당량 최적화 재정의를 사용 설정할 수 있습니다.

'최상위 상태가 작업 런타임 할당량을 준수합니다'의 시행을 사용 중지하려면 다음 adb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adb shell am compat enable OVERRIDE_QUOTA_ENFORCEMENT_TO_TOP_STARTED_JOBS APP_PACKAGE_NAME

'포그라운드 서비스와 동시에 실행되는 작업은 작업 런타임 할당량을 준수합니다'의 시행을 사용 중지하려면 다음 adb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adb shell am compat enable OVERRIDE_QUOTA_ENFORCEMENT_TO_FGS_JOBS APP_PACKAGE_NAME

특정 앱 대기 버킷 동작을 테스트하려면 다음 adb 명령어를 사용하여 앱의 앱 대기 버킷을 설정하면 됩니다.

adb shell am set-standby-bucket APP_PACKAGE_NAME active|working_set|frequent|rare|restricted

앱이 있는 앱 대기 버킷을 알아보려면 다음 adb 명령어를 사용하여 앱의 앱 대기 버킷을 가져오면 됩니다.

adb shell am get-standby-bucket APP_PACKAGE_NAME

중단된 빈 작업 중지 사유

포기된 작업은 작업과 연결된 JobParameters 객체가 가비지 컬렉션되었지만 JobService#jobFinished(JobParameters, boolean)가 호출되어 작업 완료를 알리지 않은 경우에 발생합니다. 이는 앱의 인식 없이 작업이 실행되고 재예약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JobScheduler를 사용하는 앱은 JobParameters 객체에 대한 강력한 참조를 유지하지 않으며 이제 제한 시간에 STOP_REASON_TIMEOUT 대신 새 작업 중지 이유 STOP_REASON_TIMEOUT_ABANDONED가 부여됩니다.

새 중단된 중지 이유가 자주 발생하면 시스템은 작업 빈도를 줄이기 위한 완화 조치를 취합니다.

앱은 새 중지 이유를 사용하여 중단된 작업을 감지하고 줄여야 합니다.

WorkManager, AsyncTask 또는 DownloadManager를 사용하는 경우 이러한 API가 앱을 대신하여 작업 수명 주기를 관리하므로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JobInfo#setImportantWhileForeground를 완전히 지원 중단했습니다.

JobInfo.Builder#setImportantWhileForeground(boolean) 메서드는 예약 앱이 포그라운드에 있거나 일시적으로 백그라운드 제한사항에서 제외된 경우 작업의 중요도를 나타냅니다.

이 메서드는 Android 12 (API 수준 31)부터 지원 중단되었습니다. Android 16부터는 더 이상 효과적으로 작동하지 않으며 이 메서드를 호출해도 무시됩니다.

이 기능 삭제는 JobInfo#isImportantWhileForeground()에도 적용됩니다. Android 16부터 메서드가 호출되면 메서드는 false를 반환합니다.

순서가 지정된 브로드캐스트 우선순위 범위가 더 이상 전역이 아님

Android apps are allowed to define priorities on broadcast receivers to control the order in which the receivers receive and process the broadcast. For manifest-declared receivers, apps can use the android:priority attribute to define the priority and for context-registered receivers, apps can use the IntentFilter#setPriority() API to define the priority. When a broadcast is sent, the system delivers it to receivers in order of their priority, from highest to lowest.

In Android 16, broadcast delivery order using the android:priority attribute or IntentFilter#setPriority() across different processes will not be guaranteed. Broadcast priorities will only be respected within the same application process rather than across all processes.

Also, broadcast priorities will be automatically confined to the range (SYSTEM_LOW_PRIORITY + 1, SYSTEM_HIGH_PRIORITY - 1). Only system components will be allowed to set SYSTEM_LOW_PRIORITY, SYSTEM_HIGH_PRIORITY as broadcast priority.

Your app might be impacted if it does either of the following:

  1. Your application has declared multiple processes with the same broadcast intent, and has expectations around receiving those intents in a certain order based on the priority.
  2. Your application process interacts with other processes and has expectations around receiving a broadcast intent in a certain order.

If the processes need to coordinate with each other, they should communicate using other coordination channels.

ART 내부 변경사항

Android 16 includes the latest updates to the Android Runtime (ART) that improve the Android Runtime's (ART's) performance and provide support for additional Java features. Through Google Play System updates, these improvements are also available to over a billion devices running Android 12 (API level 31) and higher.

As these changes are released, libraries and app code that rely on internal structures of ART might not work correctly on devices running Android 16, along with earlier Android versions that update the ART module through Google Play system updates.

Relying on internal structures (such as non-SDK interfaces) can always lead to compatibility problems, but it's particularly important to avoid relying on code (or libraries containing code) that leverages internal ART structures, since ART changes aren't tied to the platform version the device is running on and they go out to over a billion devices through Google Play system updates.

All developers should check whether their app is impacted by testing their apps thoroughly on Android 16. In addition, check the known issues to see if your app depends on any libraries that we've identified that rely on internal ART structures. If you do have app code or library dependencies that are affected, seek public API alternatives whenever possible and request public APIs for new use cases by creating a feature request in our issue tracker.

16KB 페이지 크기 호환성 모드

Android 15 introduced support for 16 KB memory pages to optimize performance of the platform. Android 16 adds a compatibility mode, allowing some apps built for 4 KB memory pages to run on a device configured for 16 KB memory pages.

If Android detects that your app has 4 KB aligned memory pages, it automatically uses compatibility mode and display a notification dialog to the user. Setting the android:pageSizeCompat property in the AndroidManifest.xml to enable the backwards compatibility mode will prevent the display of the dialog when your app launches. For best performance, reliability, and stability, your app should still be 16 KB aligned. Check out our recent blog post on updating your apps to support 16 KB memory pages for more details.

The compatibility mode dialog that displays when the system detects that a 4 KB-aligned app could run more optimally if 16 KB aligned.

사용자 환경 및 시스템 UI

Android 16 (API 수준 36)에는 더 일관되고 직관적인 사용자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다음과 같은 변경사항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방해가 되는 접근성 안내 지원 중단

Android 16 deprecates accessibility announc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announceForAccessibility or the dispatch of TYPE_ANNOUNCEMENT accessibility events. These can create inconsistent user experiences for users of TalkBack and Android's screen reader, and alternatives better serve a broader range of user needs across a variety of Android's assistive technologies.

Examples of alternatives:

The reference documentation for the deprecated announceForAccessibility API includes more details about suggested alternatives.

3버튼 탐색 지원

Android 16에서는 뒤로 탐색 예측으로 적절하게 이전한 앱의 3버튼 탐색에 뒤로 탐색 예측을 지원합니다. 뒤로 버튼을 길게 누르면 뒤로 탐색 예측 애니메이션이 시작되어 뒤로 스와이프하면 이동할 위치를 미리 볼 수 있습니다.

이 동작은 시스템 애니메이션 (홈으로 돌아가기, 교차 작업, 교차 활동)을 비롯하여 뒤로 탐색 예측 애니메이션을 지원하는 시스템의 모든 영역에 적용됩니다.

3버튼 탐색 모드의 뒤로 탐색 예측 애니메이션

기기 폼 팩터

Android 16 (API 수준 36)에는 가상 기기 소유자가 디스플레이에 프로젝션할 때 앱에 적용되는 다음과 같은 변경사항이 포함됩니다.

가상 기기 소유자 재정의

A virtual device owner is a trusted or privileged app that creates and manages a virtual device. Virtual device owners run apps on a virtual device and then project the apps to the display of a remote device, such as a personal computer, virtual reality device, or car infotainment system. The virtual device owner is on a local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Virtual device owner on phone creates virtual device that projects app to remote display.

Per-app overrides

On devices running Android 16 (API level 36), virtual device owners can override app settings on select virtual devices that the virtual device owners manage. For example, to improve app layout, a virtual device owner can ignore orientation, aspect ratio, and resizability restrictions when projecting apps onto an external display.

Common breaking changes

The Android 16 behavior might impact your app's UI on large screen form factors such as car displays or Chromebooks, especially layouts that were designed for small displays in portrait orientation. To learn how to make your app adaptive for all device form factors, see About adaptive layouts.

References

Companion app streaming

보안

Android 16 (API 수준 36)에는 악성 앱으로부터 앱과 사용자를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시스템 보안을 개선하는 변경사항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인텐트 리디렉션 공격에 대한 보안이 강화되었습니다.

Android 16 provides default security against general Intent redirection attacks, with minimum compatibility and developer changes required.

We are introducing by-default security hardening solutions to Intent redirection exploits. In most cases, apps that use intents normally won't experience any compatibility issues; we've gathered metrics throughout our development process to monitor which apps might experience breakages.

Intent redirection in Android occurs when an attacker can partly or fully control the contents of an intent used to launch a new component in the context of a vulnerable app, while the victim app launches an untrusted sub-level intent in an extras field of an ("top-level") Intent. This can lead to the attacker app launching private components in the context of the victim app, triggering privileged actions, or gaining URI access to sensitive data, potentially leading to data theft and arbitrary code execution.

Opt out of Intent redirection handling

Android 16 introduces a new API that allows apps to opt out of launch security protections. This might be necessary in specific cases where the default security behavior interferes with legitimate app use cases.

For applications compiling against Android 16 (API level 36) SDK or higher

You can directly use the removeLaunchSecurityProtection() method on the Intent object.

val i = intent
val iSublevel: Intent? = i.getParcelableExtra("sub_intent")
iSublevel?.removeLaunchSecurityProtection() // Opt out from hardening
iSublevel?.let { startActivity(it) }
For applications compiling against Android 15 (API level 35) or lower

While not recommended, you can use reflection to access the removeLaunchSecurityProtection() method.

val i = intent
val iSublevel: Intent? = i.getParcelableExtra("sub_intent", Intent::class.java)
try {
    val removeLaunchSecurityProtection = Intent::class.java.getDeclaredMethod("removeLaunchSecurityProtection")
    removeLaunchSecurityProtection.invoke(iSublevel)
} catch (e: Exception) {
    // Handle the exception, e.g., log it
} // Opt-out from the security hardening using reflection
iSublevel?.let { startActivity(it) }

연결

Android 16 (API 수준 36)에는 주변기기와의 연결성을 개선하기 위해 블루투스 스택에 다음과 같은 변경사항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채권 손실 처리 개선

Android 16부터 원격 결합 손실이 감지될 때 보안 및 사용자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블루투스 스택이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이전에는 시스템이 자동으로 결합을 삭제하고 새 페어링 프로세스를 시작하여 의도치 않은 재페어링이 발생할 수 있었습니다. 앱이 결합 해제 이벤트를 일관된 방식으로 처리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환경을 통합하기 위해 Android 16에서는 시스템에 대한 결합 손실 처리를 개선했습니다. 이전에 페어링된 블루투스 기기를 다시 연결할 때 인증할 수 없는 경우 시스템은 링크를 연결 해제하고 로컬 페어링 정보를 유지하며 사용자에게 페어링 손실에 관해 알리고 다시 페어링하도록 안내하는 시스템 대화상자를 표시합니다.